1. Intro
2017년 영화 딥워터 호라이즌은 2010년 발생한 실제 사건인 미국 멕시코 만의 BP 석유 광구에서 일어난 Deepwater Horizon 석유 이상 발화와 폭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이 사건은 역사상 가장 큰 해양 유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11명의 작업자가 숨지고 17명이 부상당했습니다.
영화는 이 사건의 원인, 피해 규모, 그리고 이 사건으로 인한 환경적, 경제적 파장을 보여주며, 작업자들의 용기와 헌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배우 마크 월버그, 케이트 허드슨, 존 말코비치 등이 주연을 맡았으며, 피터 버그가 감독을 맡았습니다. 이 영화는 또한 이 사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석유 산업의 안전 규정 강화를 촉구하였습니다.
2. 등장인물
감독 : 피터 버그
마이크 윌리엄스 (Mike Williams) - 마크 월버그 (Mark Wahlberg)가 연기한 이 캐릭터는 실제 Deepwater Horizon 선상에서 일하던 전기 기술자입니다. 영화에서는 그의 용기와 끈기를 강조하며, 사건 당시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안드레아 플레이트스 (Andrea Fleytas) - 지나 로드리게즈 (Gina Rodriguez)가 연기한 이 캐릭터는 선상에서 항해 및 통신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입니다. 영화에서는 그녀의 헌신과 불굴의 정신을 보여줍니다.
제임스 "미스터 잼" 해리엇 (James "Mr. Jimmy" Harrell) - 커트 러셀 (Kurt Russell)이 연기한 이 캐릭터는 선상에서 관리자 역할을 맡았던 사람으로, 영화에서 그의 리더십과 사건에 대한 책임감을 보여줍니다.
도널드 비디린 (Donald Vidrine) - 존 말코비치 (John Malkovich)가 연기한 이 캐릭터는 BP의 대표로, 영화에서 그의 안일한 태도와 사건에 대한 책임 회피를 비판적으로 보여줍니다.
3. 딥워터 호라이즌 스토리
Deepwater Horizon이라는 해상 드릴링 플랫폼에서 일어난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전기 기술자 마이크 윌리엄스 (마크 월버그)와 선상 관리자 제임스 "미스터 잼" 해리엇 (커트 러셀), 항해 및 통신 담당 안드레아 플레이트스 (지나 로드리게즈) 등은 선상에서 일하던 작업자들로, 영화에서 그들의 캐릭터가 강조됩니다. 반면 BP의 대표인 도널드 비디린 (존 말코비치)는 안일한 태도와 책임 회피를 보여주며, 영화의 악역 캐릭터로 그려집니다.
플랫폼에서 발생한 문제가 사건의 주요 원인이 됨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이 문제들은 비디린의 안일한 관리와 효율성 추구, 그리고 필요한 시험과 안전 절차를 생략하려는 태도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플랫폼에 안전 문제가 누적되어 폭발로 이어지게 됩니다.
사건 당시, 해상 드릴링 플랫폼에서는 높은 압력의 석유가 표면으로 솟구치게 되고, 이로 인해 발화 및 폭발이 일어납니다. 이 폭발로 인해 11명의 작업자가 숨지고 17명이 부상당하게 되며, 역사상 가장 큰 해양 유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사건 이후 작업자들이 겪은 고난과 그들의 끈기를 보여줍니다. 그들은 이 사건으로 인한 환경적, 경제적 파장을 겪으면서도 용기와 헌신을 발휘하며 살아남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해 사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석유 산업의 안전 규정 강화를 촉구하였습니다.
영화 "Deepwater Horizon"은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서, 그 사건의 경험을 재현하면서 미국 석유 산업의 안전 문제와 이에 대한 책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합니다. 작업자들의 용기와 헌신, 그리고 이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의 가족들과의 감정적인 연결 등이 영화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후반부에서는 작업자들이 화재와 폭발로 인한 위험한 상황 속에서도 서로 돕고 헌신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모습은 플랫폼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한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며,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합니다.
피터 버그 감독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에도 불구하고 흥미진진한 전개와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를 선사합니다. 영화는 드라마와 액션을 적절히 섞어, 사건의 심각성을 강조하면서도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크 월버그, 커트 러셀, 지나 로드리게즈 등의 배우들은 뛰어난 연기력을 발휘하여 각 캐릭터의 심리와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특히 마크 월버그는 전기 기술자 마이크 윌리엄스 역할에서 용기와 헌신을 강조하며, 사건의 참혹함을 선명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사건의 기술적인 측면과 인간적인 측면을 모두 조명하며, 사건의 전체적인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안전 문제와 책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며, 이러한 사건들이 미래에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와 규제가 필요함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나 영화는 몇몇 부분에서 과장되거나 감정적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사실적 정확성이 희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은 영화의 전반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지만, 사건의 본질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4. 제작 배경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제작:
2010년 Deepwater Horizon 석유 이상 발화와 폭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제작진은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연구를 거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건의 진실을 세심하게 재현하려 노력했습니다. 실제로 각종 장면과 배경은 현장에서 발생한 사건을 최대한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 생존자들과의 인터뷰:
사건의 진실을 최대한 세밀하게 전달하기 위해, 실제 사건에서 생존한 작업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심리와 감정, 그리고 사건 당시의 상황 등을 더욱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대형 세트 구축:
영화에서 사용된 Deepwater Horizon 플랫폼의 세트는 실제 크기와 비슷한 규모로 구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 묘사되는 폭발, 화재 등의 장면이 실감 나게 연출되었습니다. 세트 구축은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했지만, 영화의 현장감과 몰입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스페셜 이펙트와 시각 효과:
딥워터 호라이즌에서는 폭발, 화재, 유출 등의 다양한 스페셜 이펙트와 시각 효과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영화의 현장감과 긴장감을 높일 수 있었으며, 관객들에게 사건의 심각성을 더욱 강력하게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
석유 산업의 안전 문제와 사회적 책임, 그리고 기업의 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영화의 성공은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더욱 확산시켰으며, 관객들로 하여금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깨닫게 했습니다. 제작진은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을 감안하며, 영화의 메시지와 내용을 더욱 세심하게 다듬었습니다.
'시네마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너리티 리포트 ( Minority Report ) 2002년 영화 미래의 범죄를 예측하는 시스템 스토리 배경 (0) | 2023.04.22 |
---|---|
리미트리스 ( Limitless ) 2012년 영화 알약 한 개로 천재가 되는 스토리 배경 (0) | 2023.04.21 |
인셉션 ( Inception ) 2010년 영화 수면 중 꿈을 조작 스토리 배경 (0) | 2023.04.19 |
스카이스크래퍼 ( Skyscraper ) 2018년 영화 고층 빌딩 테러진압 스토리 배경 (0) | 2023.04.19 |
트위스터 1996년 영화 토네이도 예보가능 시스템 스토리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