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네마 영화

인터스텔라 2014년 영화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우주탐사 내용 소개

by 피머텐 2023. 4. 7.
반응형

1. Intro

2014년 영화 인터스텔라 영화는 SF영화이지만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우주 탐사 영화입니다.

 

 

미래의 지구에서 인류 생존을 위해 우주 탐사를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는 황사 폭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식량 공급이 매우 어려워지고, 인류는 생존을 위해 새로운 행성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주인공 쿠퍼와 우주 탐사 승무원들은 인류가 생존 가능한 새로운 행성을 찾기 위해 은하계 여행을 합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터스텔라는 과학적인 이론과 심리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인간의 본성과 우주적인 법칙에 대한 탐구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는 2067년부터 2070년 사이를 배경으로 하며, 지구의 자원 고갈과 인류의 생존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류는 우주 탐사를 확대하고, 신의 입자라는 미지의 성질을 가진 입자를 연구하며 우주로 나아가게 됩니다.

 

2. 등장인물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조셉 쿠퍼 (Joseph Cooper)역할 - 매튜 매커너히(Matthew McConaughey)
브랜드 (Brand) 역할 - 앤 해서웨이(Anne Hathaway)
브랜드 교수 역할 - 마이클 케인
머피 역할 - 제시카 차스테인
톰 역할 - 케이시 아플렉(Casey Affleck)
도일 (Doyle)역할 -웨스 벤틀리(Wes Bentley)
게티역할 - 토퍼그레이스

 

3. 인터스텔라 스토리

 

영화 "인터스텔라"는 지구가 멸망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타임 트래블을 통해 인류의 생존을 위한 여행을 떠나는 인류 최후의 희망을 다루는 SF 드라마 영화입니다.

미래의 지구는 영양소 부족으로 인하여 먹을 것이 없어지고, 거대한 먼지 폭풍으로 인해 사망의 위협이 일상화되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구의 생존을 위한 마지막 희망으로서 타임 트래블을 이용한 인류의 탐사선 이머슨호(IMF)의 12명의 우주 비행사들은 인류의 새로운 태양계를 찾아 나서게 됩니다.

타임 트래블을 이용한 이번 여행에서 이머슨호의 목표는 인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할 행성을 찾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주 비행사 쿠퍼와 브랜드 등 선배 우주 비행사와 함께 함께 탑승한 로봇 TARS, CASE와 함께 먼 우주로 떠나게 됩니다.

이머슨호에서 일어난 일들은 우주의 거대한 블랙홀, 새로운 행성, 인류의 타임 트래블 등 다양한 요소들이 등장하면서 펼쳐지며, 행성 탐험 중 발생한 예기치 못한 사건들로 인해 인류의 생존을 위한 대담한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인터스텔라는 훌륭한 SF 영화입니다. 영화는 지구의 미래가 위험에 처해져 있을 때, 구루(머슬린)라는 우주선으로 여행을 떠난 탐험가 쿠퍼와 함께 우주를 탐험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은 높은 긴장감을 주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이후 영화는 쿠퍼와 그의 딸 머피가 거주하는 지구의 초반부를 소개합니다. 영화는 매우 조용한 분위기에서 시작되며, 머피의 방에서 일어나는 초록색 빛의 수수께끼는 시청자의 호기심을 자아냅니다.

이후 영화는 머피와 쿠퍼가 그녀의 방에서 발견한 수수께끼를 해결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과정을 그립니다. 영화는 아름답게 디자인된 우주선의 내부와 우주에서의 탐사 장면으로 이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타임슬립, 시공간의 왜곡, 블랙홀 등 SF 요소들이 매우 자연스럽게 사용되었다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이후, 쿠퍼와 그의 크루들은 거대한 블랙홀을 통해 새로운 우주로 진입합니다. 이 지점에서 영화는 더욱 복잡해지며 미래의 인류를 위한 선택과 그 결정이 가져올 상황들을 고민하게 됩니다. 영화는 매우 정교하게 조작된 음향효과와 CG를 활용하여 블랙홀을 포함한 우주의 아름다움과 놀라움을 시청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쿠퍼와 머피 사이의 감동적인 결말로 마무리됩니다. 영화는 가족, 사랑, 희생, 선택 등의 테마를 다루며, 이러한 테마들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비하인드 스토리

1. 과학적으로 근거 있는 시뮬레이션
영화 인터스텔라는 우주 여행과 블랙홀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영화 제작팀은 과학적으로 근거 있는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를 위해 영화 제작팀은 약 800페이지에 달하는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물리 법칙에 따라 우주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2 촬영장에서의 야망
인터스텔라의 주인공인 매튜 매커너히는 미국의 우주 비행사인 제프리 홀이 출연을 거절한 후 캐스팅되었습니다. 매튜 매커너히는 이 역할을 위해 무려 45파운드(약 20kg)의 체중 감량을 시도하며, 인터뷰에서 "인터스텔라의 촬영에 참여하게 된 것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도전 중 하나였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3 영화 속 음악
인터스텔라의 음악은 한때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도 활동했던 작곡가 한스 짐머가 작곡했습니다. 이를 위해 한스 짐머는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 작업을 진행했으며, 영화의 배경과 감정을 완벽하게 표현한 음악으로 인터스텔라는 대중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하게 되었습니다.

4 블랙홀 시각화
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하는 블랙홀은 실제 블랙홀을 시각화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영화 제작팀은 물리학자들과 협력하여 블랙홀의 시각적인 효과와 물리적 특징을 정확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5 헤일리 베리 역의 변화
인터스텔라에서는 앤 해서웨이가 연기한 조셉 쿠퍼의 딸 미셸 역이 처음 캐스팅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은 앤 해서웨이가 헤일리 베리 역을 연기하도록 바꾸었습니다. 이는 해서웨이가 더 적합한 역할을 연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주인공 캐스팅
인터스텔라의 주인공 조셉 쿠퍼 역은 처음에 매튜 맥커너히가 캐스팅되었으나, 맥커너히가 스케줄 문제로 인해 거절하면서 마쓰다 켄이 캐스팅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브래드 피트나 크리스틴 벨도 주인공 캐스팅에 올랐으나 마지막으로는 매튜 맥커너히로 결정되었습니다.

6 노랫소리 연출
인터스텔라에서는 주인공 캐릭터가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장면은 생생함과 감동을 더하기 위해 노래 연출에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영화 제작 당시 노래를 부르는 가수를 구하지 못해 스태프 중 한 명인 조시 야니즈가 노래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댓글